
🚀 들어가며... 최근들어 BFS, DFS 문제를 풀며 느낀점이 그래프 탐색 문제의 경우 BFS를 쓸지, DFS를 쓸지 감이 잘 안오는 상황이 자주 있었습니다. (경험부족도 있습니다..ㅠ) 이참에 어떠한 키워드나 로직을 발견했을때 어떻게 접근해야하는지 정리를 해보겠습니다! 📑 내용 😎 한눈에 보는 DFS 와 BFS알고리즘의 동작 방법 일단 그림으로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봅시다. # DFS 첫번째로 DFS의 동작 순서입니다. 재귀적인 특징으로 구현을 합니다. DFS는 깊이 우선탐색 알고리즘으로서 선택한 한 루트를 파고듭니다. #BFS 다음은 BFS알고리즘입니다. 큐를 사용해서 탐색합니다. DFS와 다르게 0번노트에서 시작시 0번에서 갈 수 있는 모든 노드를 1번의 "턴"에 탐색합니다. 여기..
Algorithm
2022. 8. 4. 12:00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docker
- Default export
- data formatting
- programmers
- generator expression
- ORM
- JS
- JavaScript
- container
- Linux
- Greedy Algorithm
- static files
- Python
- lv2
- Master & Slave
- SQL
- django ORM
- PostgreSQL
- This
- Named export
- uSWGI
- db
- react
- Algorithm
- MVT
- django
- list
- lv1
- 탐욕법
- union-find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